대한민국 외교공관 철수를 주제로 한 한국 최초의 영화이며, 김윤식, 조인성, 허준호, 구교환 배우 등 연기 구멍 없이 절묘한 캐스팅으로 영화 보는 내내 관람객을 영화 속으로 자연스럽게 몰입시킵니다. 영화 <모가디슈>의 정보 및 평가, 줄거리, 촬영지 정보, 실제 역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영화 <모가디슈> 정보 및 평가
2021년 7월 28일 개봉한 류승완 감독의 액션, 스릴러 영화입니다. 류승완 감독은 <부당거래>, <베를린>, <베테랑>, <군함도>로 유명한 감독으로, 최근 작품인 <모가디슈>를 통해 대중과 평론가들에게 큰 호평을 받았습니다. 이 작품은 특히 지나친 신파극이나 정치적 요소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의 호평을 받았습니다. 소말리아에 위치한 대한민국 대사관과 북한 대사관에서 근무하는 공관원들이 1991년 소말리아 내전 당시 수도인 모가디슈에 고립되어 목숨을 걸고 함께 탈출했던 사건을 모티브로 제작되었습니다. 전체적인 이야기는 탈출하는 대한민국, 북한 측 대사 시점으로 진행되며 소말리아 내전의 비극적인 참상을 비중 있게 묘사하였습니다. 류승완 감독의 특징인 작품 중간중간 사회비판적인 요소를 넣거나, 정치적인 요소들이 대사나 미장센을 통해 녹아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불필요하거나 과장된 액션씬보다는 탈출 모습에 집중하여 연출하였는데 비현실적이거나 극적으로 과장된 연출이 아닌 각 역할의 캐릭터에 맞는 움직임을 통해 실제적인 모습을 살렸습니다.
고립된 도시, 목표는 탈출
1980년대부터 한국은 UN가입을 시도했고, 이를 위해 아프리카를 상대로 외교 총력전을 펼쳤습니다. 소말리아의 수도인 모가디슈에 한신성 대사(김윤석)가 파견되고, 모가디슈에서 소말리아의 대통령을 만나기로 약속을 잡습니다. 하지만 대통령궁으로 가던 중 괴한에게 습격을 당해 한국에서 공수해 왔던 선물을 빼앗기고, 약속 시간도 늦게 됩니다. 이는 사실 북한 측의 소행이었고, 결국 한신성 대사는 대통령과 면담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후로도 한국과 북한은 여러 갈등을 겪게 됩니다. 그러던 중 부패한 소말리아 독재정부에 맞서는 군중시위와 함께 소말리아 내전이 일어나며 모가디슈가 점령당합니다. 모가디슈의 상황이 점점 심각해지며, 한국과 북한 대사관 모두 고립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한국 대사관은 돈을 주고 경비병력을 얻어왔지만, 그러지 못한 북한 대사관은 반군에게 점령되며 갈 곳을 잃어 한국 대사관에 와서 도움을 요청합니다. 어린아이들을 데리고 있는 북한 대사관의 모습을 보며 고민 끝에 한신성 대사는 이들을 받아주기로 결정합니다. 그렇게 서로 같이 지내며 모가디슈를 탈출하기 위해 한국은 이탈리아 대사관에, 북한은 이집트 대사관에 도움을 요청하러 가기로 합니다. 과연 이들 모두 무사히 모가디슈를 탈출할 수 있을까요?
촬영지정보, 실제 역사
현재 모가디슈는 대한민국 국민이 출입할 수 없는 지역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 영화는 모가디슈가 아닌 모로코의 에사우이라라는 서부 도시에서 촬영되었습니다. 류승완 감독은 에사우이라가 촬영 가능한 지역 중 가장 소말리아 지역과 비슷하다고 하였습니다. 실제로 아프리카의 많은 나라들의 치안이 좋지 않다 보니 아프리카의 장면이 등장하는 많은 해외 영화들도 모로코에서 촬영을 진행한다고 합니다. 촬영지가 모로코인만큼 이 영화의 출현한 엑스트라 대부분이 서아프리카계 흑인들이었습니다. 하지만 소말리아인들은 보통 동아프리카계 흑백 혼혈 민족이기 때문에 영화에 출현한 엑스트라들과 외모가 상당히 다른 편이어서 이런 캐스팅에 대해 비난하는 목소리도 있었습니다. 대사와 비중 있던 역할의 출연진만 미리 오디션을 통해 섭외해 놓았던 배우이고, 대부분은 현지에서 섭외한 일반이라고 합니다.
강신성 전 대사는 1991년까지 소말리아에서 근무하였고, 북한 대사관과 함께 모가디슈를 탈출한 경험을 바탕으로 <탈출>이라는 책을 집필하였습니다. 책의 1부에서는 근무 당시 겪었던 에피소드 및 소말리아의 내전 배경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2부에서는 영화에서 등장한 소말리아 내전의 발생과 모가디슈 탈출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영화에서는 실존 인물들을 가명 처리하였고, 남북한 대사 이름들은 성만 새롭게 바꾸고, 이름은 그대로 유지하였습니다.
댓글